오디세이_복지제도

2021 청년내일저축계좌 모음

Odyssey_Choi 2021. 8. 28. 22: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싶은

Odyssey 최입니다.

 

 

정부는 2021년 하반기에 청년들을 위한

청년희망사다리 패키지를 구축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는데요.

 

청년희망사다리 패키지는 크게 4가지로

 

1. 청년 일자리

2. 청년 창업

3. 청년 주거

4. 청년 금융

 

위 4대 분야의 지원한다고 공표했어요

 

오늘은 청년 금융지원책 중 저소득 청년을

지원하는 "청년내일 저축계좌"에 대하여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청년 내일 저축계좌란?

 

 

3년 동안 청년이 매달 1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달 10만원에서 최대 30만원을

추가로 지원해 저소득 청년의 저축을 돕는

금융 지원책입니다.

 

3년간 10만원씩 저축을 했다고 가정하면

청년 저축금 360만원 +
정부 적립금 360만원 ~ 1080만원 적립되어

3년후 최소 720만원 ~ 최대 1440만원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되며 이자도 받아요.

 

그렇다면 여기서 떠오르는 생각!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 조건이 뭘까요?

 

바로 아래 설명 들어갑니다~

 


 

청년 금융지원책 종류

 

 

이번 청년 금융지원책의 발표 포인트는

소득기준에 따라서 "3단계의 구간을

나누어 차등적으로 지원한다"

간단히 요약되고요.

 

소득구간 작은 순서로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조건

 

나이: 만 19세 ~ 39세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연소득 2,200만원

 

근로기준:
현재 근로 및 사업소득 발생자

 

납입기간: 3년

 

납입한도: 연 120만원 (총 360만원)

 

2021년 기준중위소득 표
가구 원 중위소득 100%
1인 1,827,831
2인 3,088,079
3인 3,983,950
4인 4,876,290
5인 5,757,373
6인 6,628,603
7인 7,497,198

 

청년정책이 대체적으로 사용되는 연령인

만 19세 ~ 39세가 적용된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 이게 가장 맘에 들었고요.

 

이후 정부 발표에서도 최초 발표대로

그대로 시행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위에 기준 중위소득표의 금액은

세전 월급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니까

꼭 참고하시고요.

 

소득의 종류도

근로소득, 기타 소득,

사업소득, 아르바이트 소득 등등

 

어지간한 소득은 모두 인정됩니다.

 

다만 꼭 소득이 발생되어야 지원이 가능해요

그리고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을 통해서

근로 또는 사업 중임을 확인하니까

신청 시 제출서류로 필요합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 조건

 

나이: 만 19세 ~ 39세

 

소득기준:

총 급여 3,600만원 이하

 

납입한도 및 기간:

연 최대 600만원 최대 2년 가입

 

 

 

총급여가 3,600만 원 이하라면 신청 가능!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면 기존의 이자보다

2%~4% 더 높은 금리를 지원받습니다.

 

가입기간은 최대 2년까지 가능하며

연 600만 원 (월5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해요

 

그리고 기간에 따라서 추가 금리로

1년 2%, 2년 4%의 저축장려금을 받아요.

 

퍼센트로 알려 드리면 저축되는 금액이

예상이 안되니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2년간 월 50만 원씩 청년희망 적금 저축 시

 

2년 후 1200만 원 원금 + 시중금리 

+ 36만 원 저축장려금

 

위 3가지를 모두 받으신다는 점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

 

신청 조건

 

나이: 만 19세 ~ 39세

 

소득기준:

연 5,000만 원 이하

 

납입한도 및 기간:

연 최대 600만원까지 3~5년 가입

 

 

 

이 지원프로그램은 연말정산에 더 많은

환급을 받을 수 있는 금융지원책인데요

 

소득공제 혜택을 받는 연금 저축, 펀드 등

상품들을 해지할 때 소득공제를 통해서

혜택을 받은 금액을 지급해야 하는데

이 금융지원책은 그런 부담이 없다는 점

 

연 최대 600만 원 (월50만원)

가입기간은 3~5년까지

3년 후에 1,800만원 + 펀드 수익을

받게 되는 매력적인 금융지원책입니다

 


지원책 신청하는 곳

 

 

 

https://www.gov.kr/search/apply?srhQuery=%EC%B2%AD%EB%85%84%EB%82%B4%EC%9D%BC%EC%A0%80%EC%B6%95%EA%B3%84%EC%A2%8C&realQuery=&reQueryFlag=&policyType=&sdate=&edate= 

 

통합검색 | 신청서비스 | 정부24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www.gov.kr

 

지금은 모든 청년금융지원책이 미정이고,

정부 추경 계획도 완전히 나오지 않았어요

 

더군다나 5차 재난지원금 등 이런저런

코로나19로 힘든 상황이이기에

다양한 구휼정책이 나오고있어서

확정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거 같습니다.

 

그러니 위 정부24 사이트에 가셔서

"신청서비스" 란에 자주 방문하셔서

업데이트 되었는지 확인하시길 바래요.


기타 정보!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청년저축계좌"

존재하하는데 청년이 지원을 받기에 조건이

다소 어려운 점이 있어서 개선하여

만든 것이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사실!

 

둘이 비슷한데 정확히는 달라요. ㅎㅎ

 

착오가 없으실 바랍니다.

 

 

오늘의 글이 유익하셨다면

오른쪽 아래 하트 눌러주시는 거

부탁드려요.

 

저 Odyssey 최는 다음에도 유용하고,

흥미로운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