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고 싶은
Odyssey 최입니다.
요전에 "청년내일채움공제"를 다뤄봤는데
중소기업의 재직자를 위한 공제상품을
발견해서 오늘의 포스팅으로 선정했어요.
특히나 이 정책은 제한이 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로 신청 조건이
까다롭거나 어렵지 않아요.
오늘의 주제 내일채움공제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내일채움공제란?
중소기업과 중소기업의 근로자가 공동으로
적립한 급액을 가입기간에 따라 장기재직한
재직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5년 만기환급형 공제를 말합니다.
신청자에게 특별한 조건이 필요 없고,
회사에서 적립금이 별도로 들어가기 때문에
회사 측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한 공제이며,
가입자는 본인지 적립한 금액보다 훨씬 많은
만기환급금을 받을 수 있으며, 회사의 경우
오래 근무했으면 하는 근로자의 장기근속을
기대할 수 있는 고용안정 정책이죠.
5년 이상 중소기업에 재직한다는 조건만
잘 유지되면 만기 시에 추가 지원금까지
합산되어 가입기간에 따라 5년 ~10년 후
근로자가 지급한 금액의 약 3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목돈마련에
아주 좋은 정책이고 인기가 대단합니다.
가입 혜택
중소기업은 기업이 납 인한 금액의
전액을 비용으로 인정해주고,
연구인력개발비 세액 공제를 받게 됩니다.
근로자는 만기 시에 기업이 지원한 금액
근로자가 납입한 금액의 3배 이상 수령하게
되며, 기업 납입금에 대한
근로소득세의 50%를 감면받을 수 있어요.
중견기업의 경우 30%까지 가능하고요.
가입조건
조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나열합니다.
1. 가입대상:
근로자 1인 이상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
2. 가입기간:
5년 (최대 10년까지 연장가능)
3. 납입금액:
월 최소 34만 원 이상
4. 납입비율:
근로자 1 : 중소기업 2
5. 만기 공제금 수령:
5년간 최소 2,040만 원 이상 (이자 별도)
가입 제외 경우
내일채움공제 조건은 아주 까다로운 편은
아니지만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아요.
조건 1
근로자 1인 이상 중소 or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만 신청 가능합니다.
조건 2
부동산, 주점업, 도박, 무도장 운영 등등
국가에서 기피하거나 특수업종은
제외 대상으로 선별됩니다.
조건 3
국세나 지방세를 체납 중일 시
가입 신청이 제한됩니다.
조건 4
회사의 대표자, 경영주의 배우자
직계 존속인 경우 가입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내일채움공제 혜택
중소기업 사업주와 근로자자는 최소 5년간
매월 34만 원을 공동으로 납입합니다.
여기서 공동의 의미는
34만원을 근로자가 모두 납입하는 것이 아닌
근로자와 기업의 납입비율이 최소 1:2 정도
또는 그 이상 납입되어야 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근로자가 10만 원을 납입한다면
기업은 그 두배 이상인 24만원을 납입합니다.
매월 공동납입금이 34만원을 기준한다면
근로자는 최대 11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한 셈이죠
그 이상 납입하면
34만 원의 기준금액이 초과되기 때문에요.
이렇게 근로자 10만원 + 기업 24만원을
5년간 꾸준하게 납입했을 경우
5년간 근로자는 600만원을 납입했지만
최종적으로 세금을 제외한
만기환급금액은 2,040만원이 됩니다.
물론 5년간 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한
회사를 계속 다녔다는 경우에
한에서 드리는 말씀이고요
이것저것 계산해봐도
어떠한 금융상품이나 정책을
전부 따져봤을 때 납입금액의 3배를
환급받는다는 건 매우 파격적인 조건이라
본인이 중소기업에 다니시고,
장기근속하실 계획을 가지고 있으시다면
적극 추천하는 금융정책이라는 점
제차 강조드립니다.
그리고 이직이나 회사의 폐업 등으로
중도해지를 하게 되는 상황이 되었을 때
본인이 납입한 금액은 모두 돌려받으며,
회사의 귀책사유 즉
휴업, 폐업 등으로 인한 해지는
그 동안 기업이 납입한 금액 모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손해 볼 것이 전혀 없어요.
신청방법
신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하고,
가입신청 후 내일채움공재에서
심사를 거쳐 최종 승인 받게 됩니다.
https://www.sbcplan.or.kr/main.do?introGbn=01
내일채움공제
내일채움공제
www.sbcplan.or.kr
온라인 신청의 경우 위 링크를 클릭하시고,
내일채움공제 청약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https://www.sbcplan.or.kr/page.do?mCode=A080040000
https://www.sbcplan.or.kr/page.do?mCode=A080040000
www.sbcplan.or.kr
본인이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신 경우에는
지역본부 안내 링크를 위에 남겨놨어요.
회사에서 가까운 지역본부에 내방 시
근로자와 사업주가 같이 방문하거나
사업주의 위임장을 받아서 방문하시면
신청에 어려움이 없으실 거예요.
제출서류
■ 온라인 신청인 경우 ■
가입신청서 (온라인 작성)
공인인증서 (근로자)
4대 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근로자)
재직증명서 (근로자)
사업자등록증 사본(기업주)
국세 납세증명서(기업주)
지방세 납세증명서(기업주)
■ 오프라인 신청인 경우 ■
가입신청서
신분증 (근로자, 기업주)
사업자등록증 사본 (기업주)
법인등기부등본 (기업주)
국세 납세 증명서 (기업주)
지방세 납세 증명서 (기업주)
오프라인의 경우 방문 시
기업주와 같이 방문한다면 위에
서류만 준비해서 가시면 문제가 없지만
만약에 기업주 또는 근로자의 방문이
어려울 시 추가적으로 대리인에 필요한
위임장, 인감증명서, 신분증 사본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려요.
포스팅을 마치며!
포스팅을 정리하다 보니 지쳐버렸네요.
오늘 포스팅한 내용에
본인이 해당되는지 잘 알아보셔서
목돈마련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글이 유익하셨다면
오른쪽 아래 하트 눌러주시는 거
부탁드려요.
저 Odyssey 최는 다음에도 유용하고,
흥미로운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오디세이_복지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병내일준비적금 (0) | 2021.09.14 |
---|---|
5차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0) | 2021.09.07 |
2021 청년내일채움 공제 (2) | 2021.09.03 |
2021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0) | 2021.09.01 |
2021 청년저축계좌 모음 (0) | 2021.08.30 |